Search

유튜버도 세금을 내야 할까?

한입에 먹는 크래커! - 간편 3줄 요약

1. 1인 크리에이터/유튜버 도 엄연한 ‘직업’

2. 그렇기에 ‘사업자 등록’과 ‘세금신고’는 필수

3. 세금신고를 하지 않을 시 ‘가산세’ 발생

많이 먹는 크래커 - 상세 내용

연말정산 시즌을 맞아 유튜버의 세금신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1인 유튜버/크리에이터 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다양한 콘텐츠로 영상을 제작하고 시청자와 공유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유튜버/크리에이터 는 엄연한 ‘직업’ 이자 ‘사업자’ 입니다.
그렇기에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하고 이에 따른 세금 신고를 해야 합니다.
“어떤 세금 신고를 해야 하나요?”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해요!
사업자 등록 시 일반과세자로 등록했다면 1년에 2회의 부가가치세 신고가 필요하고, 간이과세자로 등록했다면 1년에 1회 부가가치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는 일반, 간이과세자 구분 없이 전체 소득을 합하여 사업자 등록을 한 다음 해 5월에 신고하면 돼요.
수입이 발생하지 않았을 시에는 무실적 신고를 해주면 됩니다
“광고수입? 후원금? 어떤 게 신고 대상인가요?”
기업의 제품을 직간접적으로 광고하는 콘텐츠를 통한 수입
유튜브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를 통한 수입
시청자의 후원금
등등
모두 세금 신고의 대상이 됩니다.
또한 직장을 다니고 있어 근로소득에 대해 연말정산을 했더라도 유튜버 활동을 통한 수입이 발생했다면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아무리 적은 수입이라도 신고하지 않으면 탈세가 돼요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돼요?!”
세금 신고를 하지 않을 시 가산세가 발생해요!
세금신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고불성실가산세’ 가 발생하고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납부불성실가산세’ 가 발생하니 꼭 세금 신고를 해야 해요!
마지막으로,
사업자 등록을 했다면 절세도 할 수 있어요.
촬영자에게 지불한 비용, 영상 편집자에게 지불한 비용, 스튜디오 임대료 심지어 먹방 유튜버의 경우 음식값도 경비처리를 통한 절세를 할 수 있으니 각종 경비를 지출할 때 입증 서류를 잘 보관하고 관리해야 해요!
오늘의 크래커도 크리에이터들의 도움이 됐길 바라며 다음시간에 만나요🫶

유튜브 채널을 이용하며, 어려운 점 없나요?

크리플래닛은 언제나 크리에이터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어요.

10초만 투자하세요! 크리에이터님의 의견으로 더 나은 서비스가 나올거예요!

*크래커는 매주 월요일에 발행되어 수요일 정오 12시에 전달됩니다.